전체 글317 DGIST-서울대, 수분이 양자결정에 영향을 주는 원인 규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양지웅 에너지공학과 교수팀이 박정원 서울대(총장 유홍림)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반도체 양자 나노결정의 수분(물)에 의한 열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실시간 액상 투과 전자현미경 분석용 차세대 이미징 플랫폼을 이용해 열화 과정에서 존재하는 반응 중간체 및 원자 단위의 반응경로를 밝혀냄으로써 양자 나노결정 상용화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됐다. 반도체 양자 나노결정은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달라지는 밴드갭, 높은 발광 효율, 좁은 발광 반치폭 등의 장점으로 바이오 이미징, 광전자 소자 및 촉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벌크 반도체 결정보다 수분과 산소에 대한 안정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분과 산소에.. 2023. 7. 17. '화합물 전력반도체' 사업 예타 통과…첨단 기술 개발 드라이브 정부가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술 강국'을 목표로 약 1400억원 규모 연구개발(R&D) 과제를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13일 열린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화합물 전력반도체 고도화 기술개발사업'이 총사업비 1384.6억원(국비 938억8000만원) 규모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화합물 전력반도체는 두 종류 이상 원소 화합물로 구성된다. 실리콘 단일 소재 전력반도체와 비교해 전력효율, 내구성 등이 우수하다. 세계 각국은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7%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반도체 시장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현재 화합물 전력반도체 시장은 유럽(54%), 미국(28%), 일본(13%) 등이 주도한다. 우리나.. 2023. 7. 17. 중국은 ‘팹리스’에 인건비 보조금까지 주는데… 한국은 지원 미미 정부, 반도체 설비에만 지원 치중… 국내 팹리스 세계 점유율 1% 불과 한국 반도체 산업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같은 대기업이 중심이다.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대부분이 삼성 혹은 SK하이닉스와의 거래에 의존하는 ‘갑을 관계’인 경우가 많다. 전문가들은 한국 반도체의 장기적 성장을 위해선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기업)나 소부장 기업에 대한 지원이 더 강화돼야 한다고 말한다. 현재 정부 차원의 지원책은 대규모 시설 투자에 집중돼 있어 제조 설비가 따로 없는 팹리스는 별다른 지원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한국은 세계 시장에서 메모리 반도체 1위, 파운드리(위탁 생산) 2위지만 팹리스 점유율은 1%에 불과하다. 국내 팹리스 기업 네메시스의 왕성호 대표는 “중국에선 팹리스 사업을 한다고 하면 사무.. 2023. 7. 17. “반도체 패권 탈환”… 美·日·EU, 보조금 동맹 맺었다 일본과 유럽연합(EU)이 반도체 동맹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닛케이·로이터 등에 따르면 이달 초 일본과 EU는 반도체 산업 지원 보조금의 분배 기준과 지급 내용, 보조금 지급 효과 등 반도체 정책 정보를 교류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일본은 최근 2년간 반도체 보조금 18조원을 마련했고, 유럽은 2030년까지 61조원의 보조금을 편성하는데, 중복 투자를 막고 두 정부가 한 팀처럼 반도체 기업·인재를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유럽 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티에리 브르통 EU 집행위원은 “유럽과 일본은 반도체 공급망을 함께 관리하고, 반도체 연구원도 교류할 것”이라며 “유럽 내에서 활동하는 일본 반도체 회사를 지원하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이전에 말했던 대로, 한국의 반도체 경쟁력은 그저 과거의 .. 2023. 7. 17. 반도체의 기본 of 기본, MOSFET이란? [개요] 인간이 만든 생산품들 중 가장 많이 팔린 것은 무엇일까? 바로 MOSFET이다. MOSFET은 걸어주는 전압에 따라 전자들이 이동하는 통로가 생기거나 막히게 되면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보통 스위치같은 역할이 필요할 때 많이 사용한다. [MOSFET] MOS MOS는 Metal - Oxide - Semiconductor 의 약자이며, 금속 - 산화막 - 반도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즉, 금속과 반도체 사이에 부도체가 들어 있는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는 의미다. 이 때 반도체가 N형이라면 NMOS, P형이라면 PMOS라 부른다. 부도체 역할을 하는 Oxide는 SIO2로 전류가 통하지 않으며, 이러한 Oxide의 두께와 유전율이 MOS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파라미터로.. 2023. 7. 14. [Harman 세미콘 아카데미] 20일차 - Github 사용법, C++(함수 오버로딩~class 기초) [Github] 진정한 개발자는 Github를 사용한다. 깃허브에는 우리가 만든 소스 파일을 저장(push)하고 불러올(pull)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실제로는 수많은 기능들이 존재하지만, 처음이니까 이 기능부터 알아보자 ① 리포지토리 생성 ② Visual studio를 Github와 연동(?) ③ 소스 파일을 Push/Pull ① 리포지토리 생성 리포지토리 :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 소스 코드에 대한 변경을 수행 및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중앙화된 디지털 스토리지 readme.md : 나의 repos를 설명해주는 역할을 한다. gitignore : 굳이 업로드할 필요 없는 파일들을 필터링한다. ② Visual studio를 Github와 연동 ③ 소스 파일 Push/Pull Fetch : 로컬 저장소.. 2023. 7. 14. 세상에 없는 신소재로 35조 시장 주도할 이미지센서 개발 "1단계 연구개발(R&D)로 100여개 이상의 신소재를 만들어 냈고, 이제 2단계부터는 제일 똘똘한 10개를 뽑아 이미지 센서 부품을 만들것이다." 국가핵심소재연구단 중 용액공정 광전 융합 소재 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윤성철 단장은 12일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본부 연구실에서 파이낸셜뉴스와 만나 "세상에 없는 신소재로 이미지센서 국산화를 넘어 세계 시장을 주도할 작품을 내놓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연구단은 이미지 센서를 세계 최초로 프린팅하는 방법을 활용해 쉽게 만들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 중이다. 이 신소재와 제작공정 기술로 현재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는 이미지센서 소재 및 부품 국산화를 넘어 세계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목표다. 12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이미지센서 시장 매출 .. 2023. 7. 14. 국내 소부장도 미국 진출 검토 미국이 막대한 보조금을 내걸고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을 빨아들이면서,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도 잇따라 현지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 국내 반도체 생태계가 미진한 상황에서 강력한 보조금 혜택과 함께 현지에 큰 시장이 열리고 있기 때문이다. 미 정부는 “아무리 규모가 작은 투자라도 반도체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다”며 쟁쟁한 대기업을 넘어 중소기업들까지 유혹하고 있다. 11일(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반도체 박람회 ‘세미콘 웨스트 2023′에서 만난 국내 밸브 전문 기업 디케이락의 김현수 대표는 “지난 5월 미국에 합작 법인을 세웠고, 현지 제조에 나설 예정”이라며 “새 반도체 공장 건설이 빠르게 늘고 있어 올해 미국에서만 매출이 50%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 2023. 7. 14.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