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7

[Harman 세미콘 아카데미] 85~91일차 - 자율주행 시스템 구현 프로젝트 [프로젝트 진행] 2023.11.06 ~ 2023.11.13 프로젝트 진행 2023.11.14 프로젝트 발표 2023. 11. 15.
[FPGA Project] CPU 구현 프로젝트(ALU, ACC, PC, MAR, MDR, ROM, Control Block, Data Bus) [Mission] 📌 Project Summary Project name : FPGA환경에서 Verilog 언어를 통한 4bit CPU 구현 프로젝트 Mission i) 실제 CPU와 같이 Fetch-Decode-Execute- Writeback 사이클을 반복하여 연산하도록 구현 ii) 사칙연산, 논리연산 iii) 시프트연산, 비교연산 iv) 테스트벤치 작성을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기능 검증 프로젝트 기간 및 팀원 기간 : 4 Days 팀원 : 1명 [Result] 📌 Operation 📌 Function & Block Diagram ✅ 연산 파트 : 사칙연산, 논리연산, 시프트연산, 비교연산을 수행합니다. - ALU : 각 연산의 명령어(op_sub, op_and 등)와 ACC와 BREG에 저장된 데이터.. 2023. 11. 8.
[Harmanr 세미콘 아카데미] 83~84일차 - Full Custom IC(Project Presentation) [Project Presentation] 이틀 간, 이제까지 만든 프로젝트를 마무리 및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상상 이상으로 노가다성이 짙었던 과목이다 보니, 다른 과목들에 비해 흥미가 떨어지긴 했지만 최선을 다해서 프로젝트에 임했고 그 결과는 생각보다 좋았다.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엔지니어로써 어떻게 하면 좋은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가? 를 생각해보게 되었다. 좋은 반도체란, 전송 속도가 빨라야 하고(Fast) 생산 단가가 저렴해야 하며(Cheap) 저전력으로 동작이 가능(Low Power)한 반도체를 말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발판삼아, 좋은 반도체를 넘어 최고의 반도체를 설계하는 엔지니어가 되도록 부단히 노력해야겠다. 2023. 11. 3.
[Harmanr 세미콘 아카데미] 82일차 - Full Custom IC(Analog Circuit, One chip Project Finish) [Analog Circuit 개요] 📌 아날로그 특성 수동 소자는 보통 IV Curve를 보고 특성을 판단한다. 아날로그 특성은 주파수와 Gain을 보고 판단하면 된다. 학습용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이 OPAmp 741이다. 100dB라고 하면, 1이라는 값이 들어갔을 때 10^5(100 000)배만큼 증폭돼서 나온다. 증폭도 0이 너무 많으면 불편하므로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dB라는 단위를 사용한다. 만약 주파수가 증가한다면, Gain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점점 줄어들게 된다. 가장 이상적인 증폭기 : 주파수가 증가해도 Gain이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 : Gain x BandWidth = 일정 만약 BandWidth가 감소한다면, 이 기울기가 20dB 스케일로 감소한다 증폭.. 2023. 10. 26.
[Virtuoso] Virtuoso Lock 걸렸을 때 해결법 [Trouble] 렉으로 인해 튕김 현상이 발생하면, 가끔 사용 중이었던 파일이 잠겨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Solution] // 라이브러리 폴더로 이동 $ cd gpdk090_v4.6/ // list 명령어를 실행시켜 나의 라이브러리명을 찾고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 ls $ cd JWS // list 명령어를 실행시켜 잠긴 폴더명을 찾고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 ls $ cd ONECHIP // list 명령어를 실행시켜 잠긴 파일명을 찾고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 ls $ cd layout // 락 파일 제거 $ rm [락 파일명] 위와 같이 락 파일이 삭제 완료. 종료 후 재시작해주자. 잠겼던 파일이 정상적으로 열리고 수정도 가능하다. 2023. 10. 25.
통신 기술의 새 지평을 여는 MIMO 광 통신 글: 존 가베이(Jon Gabay) 제공: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 (출처: 7maru - stock.adobe.com) 빛, 즉 광학을 이용하는 통신 기법(optical communication)은 멀리 떨어진 곳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해온 가장 오래된 기술 중 하나이다. 반사가 잘 되는 물체의 표면에 햇빛을 반사하고 이를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해서 신호 또는 경보를 전달했다. 이 지향성 반사는 꽤 은밀해서 통상적으로 의도하는 대상만이 신호를 볼 수 있다. 빛을 이용하는 통신 기술은 오늘날에도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로 광섬유와 TV 리모콘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RF가 고속 단방향 및 전방향 통신을 위한 전자기 매질로 더 선호된다. 그렇더라도 아직은 빛을 .. 2023. 10. 25.
하이테크 애플리케이션에서 나노아키텍토닉스의 잠재력 글: 리암 크리츨리(Liam Critchley) 제공: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 나노 기술 분야는 오래 전부터 존재했던 기술 분야다. 예컨대 ‘리소그래피’처럼 벌크 소재에 나노 스케일의 특성을 도입하는 기술부터 시작해, 처음부터 100nm 이하, 경우에 따라서는 단일 원자층 두께의 고기능성 소재를 만드는 기술에 이르기까지, 나노 기술은 오랜 기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나노 기술 분야는 오늘날 다양한 영역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생물학, 화학, 물리학, 공학 등 모든 전통적인 과학 분야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하므로 나노 기술과 나노 소재의 응용 범위는 매우 방대하며 계속해서 성장 중이다. 나노 기술은 오래 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수많은 틈새 분야가 끊임없이 .. 2023. 10. 25.
[Harmanr 세미콘 아카데미] 81일차 - Full Custom IC(4bit add/sub One chip Project) [4bit add/sub] 뺄셈의 개념 A-B = C 라는 식에서 약간의 변형을 거친다. A + (-B) = C 위와 같이 뺼셈은 보수로의 변환과 덧셈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보수 체계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Harman 세미콘 아카데미] 2일차 - 보수체계, Testbench, Delay [개요] 1. 논리 회로 - Combinational Logic (조합 논리 회로) : input이 주어지면, output이 고정된다. output이 다음 output에 영향을 주지 못 함. - Sequential Logic (순차 논리 회로) : 이전 output이 다음 output에 영 rangvest.tistory.com 감가산기는 Sign 신호에 의해서 ADD, SUB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 Sign .. 2023. 10. 25.